-
표면마취 마네신크림에 대해 제대로 알고 계시나요?건강 2022. 3. 20. 15:41
안녕하세요 :) 마네신크림 의약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네신크림 마네신크림은 피부 표면 마취할 때 바르는 약입니다.
성분은 Lidocaine 리도카인 25mg/g Prilocaine 프릴로카인 25mg/g 함량 되어있으며,
흰색의 크림제로 되어있습니다.
저장방법은 기밀 용기로 실온(1~30도) 보관하시면 되겠습니다.*리도카인 은 심장 부정맥의 가장 중요한 치료제 중 하나입니다.
또한 국소 마취제 및 통증 예방 및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리도카인 크림은 경미한 수술 절차 전에 피부의 영향을 받는 부위에 바를 수 있습니다.
그럼 마네신크림 의약품의 효능과 효과 / 주의사항과 복용정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마네신크림 의약품 효능 · 효과
1. 주사바늘 삽입시 또는 표재성 외과적 처치시 피부의 표면마취
2. 생식기 점막 표면마취(예 : 콘딜롬 제거전)
3. 세척이나 표제성 수술(예 : 피브린, 농, 피사부위의 제거)에 앞서 다리궤양의 표면마취
마네신크림 의약품 용량 · 용법
○ 성인
1. 피부 : 이 약을 적용한 후 밀봉테이프로 덮는다. 적용 부위에 대한 밀봉은 보통 1-3시 간 유지되어야 하며 밀봉테이프 제거후 최소 1시간은 효과가 지속된다.
1) 주사바늘 삽입시(예 : 정맥삽관, 채혈) 이 약 약 2g을 최소 1시간, 최대 5시간 적용한 다.
2)표재성 외과적 소수술시[예 : 연속종(軟屬腫)의 적출] 이 약 1.5 -2g/10㎠을 1시간 적 용한다.
3) 표재성 외과적 대수술시(예 : 파열된 피부이식) 이 약 1.5-2g/10㎠을 최소 2시간, 최 대 5시간 적용한다.2. 생식기 점막 : 콘딜롬 제거시 처치 부위에 이 약 약 10g을 5-10분간 적용한 후 이 약 을 제거하고 즉시 시술을 개시한다.
3.다리궤양 : 이 약을 적용한 후 밀봉테이프로 덮는다. 개봉한 튜브를 단회로 사용하며 매 조작 후에는 남아있는 그림을 버리도록 한다. 적어도 30분간 1-2g/10cm2을 적용하며 매 치료시마다 10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투고하기 어려운 조직의 다리궤양에 대해서는 적용시간을 60분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크림 제거 후 10분 이내에 궤양을 세척하도록 한다. 1-2개월간 15번까지 사용했을때 효과가 감소하거나 국소반응이 증가하지 않았다.
○ 3개월-12개월영아 : 총량 2g, 적용부위 16㎠를 초과하지 않는다.
마네신크림 의약품 주의 사항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의 성분 또는 기타의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 환자
2) 상처가 있는 부위, 점막, 접촉성피부염 또는 아토피피부염 환자
3) 3개월 이하의 영아
4) 메트헤모글로빈혈증유발 약물(설폰아미드 등)을 투여하는 12개월 이하의 영아
5) 임신 37주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빈혈, 메트헤모글로빈혈증 또는 이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투여 환자
2) 쇠약자, 고령자, 급성 질환 환자
3) 중증의 간질환 환자5. 일반적 주의
1) 프릴로카인의 비경구적 투여로 인하여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이 약이 권장용량으로 성인에게 사용되었을 때, 프릴로카인의 대사물로 인한 메트헤모글로빈의 형성은 일반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그러나 글루코스-6-인산 탈수소효소 결핍증 또는 선천성 또는 특발성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있는 환자 등 일부의 환자는 약물에 의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에 더 민감하다.
3) 이 약의 상용량으로는 전신적인 독성 발현 위험성이 거의 없으나 독성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다른 국소마취제 투여 후와 비슷한 증후가 예상된다. (중추신경계 흥분 증상, 심한 경우 중추신경계 억제, 심근 억제) 이 약물은 피부로부터 전신적으로 흡수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독성 징후를 나타낸 환자들의 증상을 치료하는 경우에는 몇 시간 동안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4) BCG와 같은 생백신을 피하주사할 경우에는 이 약의 주성분과 백신의 상호작용을 배제 할 수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5)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에는 적용 시간을 줄여야 한다(15-30분)
6) 임상시험에서 이 약은 신생아의 뒤꿈치 모세혈관 채혈시에 통증 경감을 보이지 못했다.
7) 리도카인과 ClassⅢ 부정맥용제(예 : 아미오다론)를 병용하는 환자는 두 약제의 심장에 대한 영향이 부가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ECG 모니터링이 고려되어야 한다.6. 상호작용
1) 국소마취제 투여 환자는 다음 약물 병용 투여 시 메트헤모글로빈혈증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표 1. 메트헤모글로빈혈증과 관련된 약물의 예분류 예시 질산염/아질산염 산화질소,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푸루시드, 아산화질소 국소마취제 아티카인, 벤조카인, 부피바카인, 리도카인, 메피바카인, 프릴로카인, 프로카인, 로피바카인, 테트라카인, 레보부피바카인 항암제 시클로포스파미드, 플루타미드, 히드록시우레아, 이포스파마이드, 라스부리카제 항생제 답손, 니트로푸란토인, 파라아미노살리실산, 설폰아미드 항말라리아약 클로로퀸, 프리마퀸 항경련제 페노바비탈, 페니토인, 발프로산나트륨 기타 아세트아미노펜, 메토클로프라미드, 퀴닌, 설파살라진 2) 다른 국소마취제는 또는 부정맥용제(토카이니드, 맥실레틴 등)과 병용투여시 독성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 국소마취제 및 ClassⅢ 부정맥용제(예 : 아미오다론)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주의하도록 한다.8. 소아에 대한 투여
1) 3개월 미만의 영아에서는 단회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안정성과 유효성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영아에서 이 약 적용 13시간 후까지 메트헤모글로빈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임상적 의의는 없었다.
2) 흡수에 대한 자료가 불완전하므로 소아의 생식기 점막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3) 임상경험이 더 축적될 때까지, 0-12개월의 유아에 대해서는 메트헤모글로빈을 야기하는 약물과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9.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은 각막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눈 주위에 적용하지 않는다. 이 약이 눈에 닿은 경우, 물 또는 염화 나트륨 용액으로 눈을 씻어내야 하며 감각이 돌아 올 때 까지 보호해야 한다.
2) 기타의 국소마취제와 마찬가지로 이 약은 귀에 독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이에 적용하지 않아야 하며 중이(middle ear)로 침투될 수 있는 처치 또는 천자술(paracentesis)에 이 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3) 개방성 미란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소아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드물게 보고되었다. 고용량의 프릴로카인은 메트헤모글로빈을 증가시킬 수 있다. 3개월 된 영아에서 125㎎의 프릴로카인은 5시간동안 국소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중등도의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나타났다. 8.6~17.2㎎/㎏의 리도카인은 영아에서 중증의 중독을 일으켰다.
2) 심한 신경학적 증상(경련, 중추신경계 억제)이 나타났을 시에는 보조환기와 항경련치료와 같이 대중적인 치료를 하도록 한다.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나타났을 시에는 메칠티오늄(methylthionium)이 해독제이다. 전신 흡수가 느리기 때문에 독성 증상이 나타난 환자는 몇 시간동안 관찰해야 한다.
11. 기타
프릴로카인의 대사체인 o-톨루이딘을 고용량 사용한 랫트 및 마우스에서의 발암성 시험에서, 비장과 방광에 암 발생 가능성이 증가했다. 이 결과를 사람에 적용하기 어려우나 이 약의 고용량, 장시간 사용은 피한다.
마네신크림 의약품 복약 정보
- 환부 및 그 주위를 청결히 한 후 투여하세요.
- 이 약은 외용으로만 사용하고 먹지 마세요.
- 투여 후 손을 반드시 씻고,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적용시 일시적으로 자극감이 나타날 수 있어요. 증상이 지속되면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일정기간 투여해도 증상 개선이 없는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마네신크림 의약품 급여 정보 / 급여 인정 기준
급여 정보 : 비급여
지금까지 마네신크림 의약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용하시기 전에 설명서를 꼼꼼하게 읽어 보시고,
본 설명서를 보관하시고 필요시 다시 한 번 읽어 주세요.
사용기간이 지난 제품은 사용하지 마세요.
복용하신 후 이상 현상이 있을 시, 약 복용을 중단하시고, 전문가와 상의하여 드시길 권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안압 녹내장 라노탄점안액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계시나요? (0) 2022.03.20 위십이지장 궤양 타가메트정에 대해 제대로 알고 계시나요? (0) 2022.03.20 만성 통증 치료 라노펜정에 대해 제대로 알고 계시나요? (0) 2022.03.19 다나센연질캡슐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계시나요? (1) 2022.03.19 아가론주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계시나요? (0) 2022.03.19